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워싱턴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주 내에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겠다고 예고한 미러 정상회담이 사실상 무산되는 듯한 기류다.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을 두고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해 양측 사전 협의가 난항을 겪으면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힌두교 최대 축제인 디왈리 축하행사 자리에서 취재진의 '푸틴과의 회담이 취소됐느냐'는 질의에 "나는 쓸데없는 회담을 하는 걸 원하지 않는다"며 "시간 낭비를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서 어떻게 될지 지켜보겠다.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미러 정상회담은 두 사람이 지난 16일 통화를 하면서 약속한 것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 회담이 "2주 내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슨 일이 일어날지 절대 알 수 없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전선에서는 많은 일이 벌어지고 있다"며 "앞으로 이틀 안에 우리가 무엇을 할지 알려주겠다. 많은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전쟁 종식 기회가 있다고 보느냐는 물음에 "그렇다. 푸틴과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도 끝내길 원한다. 나도 (전쟁이) 끝날 거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정상회담 일정을 협의할 예정이었던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의 이번 주 회동도 연기됐다.
익명을 요구한 백악관 관계자는 루비오 장관과 라브로프 장관이 통화했고 이 통화는 "생산적"이었다고 평가하면서도 "두 장관의 추가 대면 만남은 필요하지 않다"고 밝혔다고 뉴욕타임스와 AFP통신 등이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이 가까운 시일 내에 만날 계획은 없다"고 확인했다.
CNN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 20일 통화한 루비오 장관과 라브로프 장관이 "우크라 종전 가능성에 대해 서로 엇갈린 기대를 갖고 있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양측의 외교적 접촉이 적어도 당장은 중단된 상태"라고 보도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산 석유의 최대 수입국인 중국에 대해 관세를 부과할 것인지에 대해 11월 1일부터 10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방침임을 재확인한 뒤 자신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성과로 한국의 3천500억 달러 대미(對美) 투자를 또 언급했다.
그는 한국과 무역협정이 최종 타결되지 않았음에도 유럽연합(EU), 일본과 더불어 한국과도 협정을 체결했다고 거듭 밝혔다.
한국의 대미 투자액 집행 방식과 기간 등을 놓고 이견이 노정되면서 양국 간에 치열한 협상이 이뤄지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기정사실화하는 입장을 보여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