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은석 내란특검팀이 27일 신당 자유와혁신 황교안 대표(전 국무총리)에 대한 강제수사에 착수한 가운데 양측의 대치가 9시간 남짓 이어지고 있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9시쯤부터 서울 용산구 황 대표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 집행에 나섰다.
황 대표 측이 안에서 자택의 문을 열지 않으면서 특검팀과 영장 집행을 놓고 팽팽하게 대치하고 있다.

현장은 지지자들이 연좌 시위 형태로 아파트 입구를 가로막고 특검팀에 강력하게 항의하면서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지지자들은 아파트 계단 외벽에 ‘부정선거 사형’ 등의 깃발을 꽂고 맞서고 있다.
한 지지자는 “내란 선전·선동이라는 죄목 자체가 말이 안 된다”며 “특검은 부당한 압수수색 시도를 중단하고 당장 철수하라”고 외쳤다.

이날 오후 5시쯤 소방차와 구급차가 현장에 출동했으나 20분 만에 철수했다. 일각에선 특검이 소방관을 동원해 문을 강제로 열고 실내에 진입하려 한다는 말들이 나돌고 있다.
오후 6시를 즈음해 현장은 어둠이 서서히 깔리고 있다. 특검이 발부받은 영장이 야간에도 강제수사를 집행할 수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황 전 총리는 실내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낮 12시쯤 압수수색 현장에서 만난 황 전 총리 측 변호인은 “변호인 선임 등의 절차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앞서 특검팀은 언론 공지를 통해 황 전 총리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 집행을 시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경찰에 내란 선전·선동 혐의로 고발돼 이첩된 사건”이라며 “구체적인 혐의는 확인하기 어렵다”고 알렸다.
특검 관계자는 이날 오후 정례 브리핑에서도 “황교안 전 총리의 계엄 당일 행적과 관련된 것”이라며 “구체적인 혐의 내용은 공개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언론 보도를 종합하면, 특검은 황 대표가 지난해 비상계엄 발령 다음날인 12월4일 소셜미디어(SNS)에 “우원식 국회의장을 체포하라”는 등 내란을 선동하는 취지의 게시물을 올린 혐의를 두고 수사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앞서 경찰은 황 대표가 제21대 대통령선거에 무소속 출마한 당시 ‘부정선거·부패방지대(부방대)’의 전국조직을 선거운동에 활용한 혐의(공직선거법 위반)를 입증하겠다며 부정대 전·현직 임원진에 대한 압수수색에 착수해 정치보복 및 표적 수사 논란을 초래했다.

허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