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美전문가 "트럼프-김정은 만남 회의적이지만 완전 배제 못해"
  • 연합뉴스
  • 등록 2025-10-22 06:00:01
기사수정
  • 앤드루 여 브루킹스연구소 한국석좌, APEC계기 북미회담 관련 언급


앤드루 여 브루킹스 연구소 한국석좌미국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 앤드루 여 한국석좌가 21일(현지시간) 워싱턴DC의 해당 연구소에서 열린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달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국을 방문할 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회동 성사 가능성은 작지만, 아예 배제할 수는 없다고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가 관측했다.


미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의 앤드루 여 한국 석좌는 이날 워싱턴DC에서 열린 해당 연구소의 APEC 관련 언론 조찬 행사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APEC을 계기로 만나지 않을 거 같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당국자들이 이 회동을 비공개로 논의해왔다는 CNN 방송 보도, 유엔군사령부와 통일부가 APEC 정상회의 기간 판문점 특별견학을 중단한 조처 등을 "흥미롭다"며 "물론 이 모든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을) 만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얘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여 석좌는 "내가 (두 사람의 회동에) 회의적인 이유는 첫째 트럼프 대통령이 방한할 뿐 APEC 정상회의에는 참석하지 않는다는 점"이라며 "29∼30일은 매우 짧은 일정이고, 이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이 주요 관심사"라고 설명했다.


이어 "따라서 트럼프 팀이 김 위원장과의 회담을 준비할 여력이 있을지 모르겠다. 이는 순전히 운영의 문제다. 운영과 의전 문제"라고 덧붙였다.


여 석좌는 또한 "김 위원장 측에서도 현시점에서 회동을 원할지 불확실하다"며 "푸틴, 시진핑과는 이미 만났고, 중국 소식통에 따르면 시 주석이 김 위원장에게 트럼프와의 회담을 권유했다고 하는데 김 위원장이 준비됐는지는 알 수 없다"고 분석했다.


여 석좌는 그러면서 "지금이 적절한 시기일까. 김 위원장은 더 기다릴 수도 있다"며 "그래서 트럼프-김정은 회동(가능성)은 회의적이지만,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겠다"고 밝혔다.


여 석좌는 트럼프-김정은 회동 관련 한국의 역할에 대해선 "이재명 대통령은 할 수 있다면 성사시키려 할 것"이라면서도 "이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의미 있는 존재로 인식되려면 트럼프 대통령을 거치거나 미국이 중재 역할을 해야 한다. 2018년 문재인 정부가 트럼프와 김정은을 연결해준 것과는 반대가 됐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유니세프-기본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