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강동길 해군 참모총장이 23일 충남 계룡대 해군 본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해군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동길 해군참모총장은 중국이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PMZ)에서 국제법을 위반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 참모총장은 23일 충남 계룡시 계룡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해군본부 국정감사에서 중국의 서해 구조물 설치와 관련한 강대식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서해 잠정조치수역에서 (중국이) 국제법을 준수하지 않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성일종 국방위원장은 해군이 외교부, 해양경찰과 함께 중국의 해양법 위반에 적극 대응해달라고 촉구했고, 강 참모총장은 "알겠다"고 답했다.
강 참모총장은 PMZ에 중국 함정이 들어오면 단호히 대응해달라는 임종득 국민의힘 의원 당부에는 "우리 영역으로 들어오면 우리도 비례 대응해야 한다"며 원론으로 답변했다.
강 참모총장은 또 중국의 서해상 활동에 대한 의원들의 우려에 "중국이 질적, 양적 측면에서 (우리보다) 우위에 있다"며 "중국에 3개 함대가 있는데 2개가 우리와 닿아있다. 이들의 활동력이 2000년 이후 커지면서 척수도 급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반면, 우리는 적은 척수로 북한도 상대하고 중국도 상대해야 한다"며 "그러다 보니 전투함 외에 상륙함, 군수지원함도 나와서 대응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강 참모총장은 우리 군이 미군과 대외군사판매(FMS) 계약을 맺고 해상 초계기 포세이돈(P-8A)과 해상작전 헬기 시호크(MH-60R)를 전력화했지만 미국 사정으로 어뢰 탑재가 늦어지고 있다는 백선희 조국혁신당 의원 지적에는 "30여 발을 우선 획득하되 국산 어뢰를 해상작전헬기에 탑재할 수 있게 개조하겠다"고 밝혔다.
경찰이 예식장 독점계약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해군호텔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부적절한 게 있다. 수사 결과에 따라 공정한 조치를 하겠다"고 말했다.
해군은 이에 앞서 업무보고에서는 유인기 운용 위주의 경항모 대신 유·무인 전력을 통합해서 지휘할 수 있는 3만t급 '한국형 유·무인 전력모함'(MuM-T Carrier)을 2030년대 후반까지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한국형 유·무인 전력모함은 전투용 무인항공기(UAV), 감시정찰·공격용 UAV, 자폭용 UAV 등을 탑재해 유인기 대비 감시정찰과 타격능력이 한층 향상됨으로써 아군 전력의 생존성과 공격력이 높아질 것으로 해군은 기대했다.
해군이 확보하려는 한국형 유·무인 전력모함은 약 3만t급으로 무인기 외에 해병대 전력을 지상으로 투사하기 위한 상륙기동헬기와 공격헬기를 탑재할 수 있다.
또 독도급 대형수송함과 같이 침수 갑판을 추가해 정찰·기뢰전용 무인수상정·고속상륙정을 탑재하고 진수할 수 있다.
향후 해군은 한국형 유·무인 전력모함과 함께 대형수송함인 독도함과 마라도함을 3개 기동부대 지휘함으로 운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군은 "한국형 유·무인 전력모함은 광해역에 분산된 유·무인 전력을 실시간 네트워크 기반으로 통합·지휘하는 해양 기반 한국형 킬웹의 핵심전력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해군은 실시간 탐지·결심·타격이 가능한 인공지능(AI)·네트워크 중심 해양 기반 한국형 킬웹 구축, 함정 승조원 순환근무제도의 단계적 추진을 통한 근무여건 개선 등 계획도 보고했다.
해병대는 이날 부대 구조에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적용, 상륙돌격장갑차(KAAV-II) 계열·모듈화 및 상륙공격헬기, 고속전투주정 전력 구축 등을 통한 유·무인 복합전투체계의 조기전환 가속화 등 업무 계획을 보고했다.
연합뉴스